재외동포수단 STUDY KOREAN

문서 재생 오디오 스톱

한복에 대해 알아보기

‘시작하기’ 버튼을 누르면 활동이 시작됩니다.

한국의 전통 의상, 한복

* 내용을 확인하고 다음 페이지로 넘어가 보세요.
명절
결혼식
기념 사진
생활 한복
클릭
클릭
클릭
클릭
지문 확인하기
최근에는 한복을 잘 입지 않고 결혼식, 명절 등 어른들께 예를 갖추어 인사를 드릴 때에만 한복을 입습니다. 그리고 외국인과 젊은 사람들의 유행 중의 하나로 경복궁, 한옥마을 등 역사적인 장소에 한복을 입고 가서 기념 사진을 찍기도 합니다. 또한, 연예인들이 생활에 편리하게 만든 생활 한복을 입는 모습을 보여 대중적으로 인기를 끌기도 했습니다.
1 2 3

1. 한복의 역사

한복은 어떤 역사를 가지고 있나요?

고구려 벽화
고구려 시대 남자
무용수의 모습
고려 시대 사극 드라마 <주몽>
지문 확인하기
한복은 한민족의 고유한 특성을 가진 전통의상으로 1600년이 넘는 긴 역사를 가졌습니다. 4C로 추정되는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통이 넓은 바지를 입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자들은 긴 주름 치마를 입었고 소매가 긴 상의를 입고 있습니다. 저고리와 바지, 치마에 겉옷인 두루마기를 걸치는 것이 지금의 한복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입니다.
1 2 3

1. 한복의 역사

한류 콘텐츠 속에서 한복은 어떤 모습이었을까요?

통일신라시대 한복
드라마 <태조 왕건>
고려시대 한복
영화 <쌍화점>
조선초기 한복
드라마 <대왕 세종>
조선후기 한복
드라마 <이산>
지문 확인하기
통일신라시대에는 외국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귀족들은 화려한 한복을 즐겼습니다. 저고리가 길고 통이 큰 팔, 허리띠가 특징입니다. 고려시대에는 출신과 계급에 따라 한복의 색깔이 달랐습니다. 길이가 짧아진 저고리가 유행하고 고름이 생겼습니다.
그리고 조선전기에는 계급에 따라 입는 한복이 달랐습니다. 남자는 겉옷이 발달하고 여자는 저고리와 치마의 색상과 장식이 화려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조선후기의 한복은 남자와 여자의 저고리가 짧아졌고 지금의 한복과 가장 비슷합니다.
1 2 3
이전 다음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