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외동포수단 STUDY KOREAN

재생 오디오 문서 스톱

거주국의 새해

‘시작하기’ 버튼을 누르면 활동이 시작됩니다.

설날의 의미에 대해 알아볼까요?

한국의 설날에 대해 알아봅시다.

지문 확인하기
우리나라에는 음력설양력설로 두 개의 설날이 있다. 음력설은 전통적인 명절인 설날을 의미하며 구정으로 불리기도 한다. 양력설은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양력에 의한 설날을 의미하며 신정으로 불리기도 한다. 구정이라고 했던 전통적인 ‘음력설’이 본래의 ‘설날’이라는 이름을 찾기까지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우리나라는 1896년 1월 1일(음력 1895년 11월 17일)부터 양력(태양력)을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나 우리의 전통 명절인 설날은 계속 이어졌다. 하지만 일제강점기가 되면서 설날에도 변화가 생겼다. 일본은 ‘전통문화 말살정책’으로 설날과 같은 우리나라의 전통 명절을 지키지 못하게 하고 일본의 명절과 풍습을 강요했다. 이처럼 일제강점기에는 일본 사람들의 방식대로 양력설을 강요했는데, 이는 광복 후에도 계속 이어졌다. 그런 과정에서 우리는 전통적인 ‘설날’인 음력 1월 1일의 ‘음력설’과 양력 1월 1일의 ‘양력설’ 두 개의 설날이 생기게 된 것이다.

현재 양력설에는 하루를 쉬며 새해를 맞이하기 위해 1월 1일 자정에는 보신각에서 33번 종을 울린다. 이것은 ‘제야의 종’이라고 하며, 새해의 시작을 알리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또한, 사람들은 새해 첫날 뜨는 해를 보기 위해 정동진이나 포항 호미곶 같은 명소를 찾아 해맞이를 하기도 한다. 음력설인 ‘설날’에는 3일 동안 쉬며 명절을 보낸다. 설날 아침에는 조상님께 차례를 지내고 떡국을 먹고 어른들께 세배를 드린다. 어른들은 아이들에게 덕담을 해주시며 세뱃돈도 주신다. 설날에는 윷놀이, 연날리기, 투호놀이, 팽이치기 등의 전통놀이를 하며 가족들과 즐겁게 명절을 보낸다.
1 2 3

설날의 의미에 대해 알아볼까요?

다음 질문에 대해 답을 직접 써 봅시다.

  • 1. 한국에서는 새해 첫 날을 뭐라고 해요?

    확인
  • 2. 여러분이 살고 있는 곳에서는 뭐라고 하나요?

1 2 3

설날의 의미에 대해 알아볼까요?

다음 질문에 대해 답을 직접 써 봅시다.

  • 1. 한국에는 설날이 몇 번 있어요?

    확인
  • 2. 여러분이 살고 잇는 곳에는 설날이 몇 번 있어요?

1 2 3
이전 다음
1 2 3
음성스타트